역사내
- Home
- 안전환경
- 안전가이드
- 안전장비 및 취급요령
- 역사내
본문 시작
역사내
소방설비 안내

가스계 소화설비
전기실의 화재에 대한 소화설비

복잡고휘도 유도등
고휘도 유도등과 비상방송설비, 시각경보 장치 등을
직접시켜놓은 피난설비

스프링쿨러 설비
화재발생시 물을 분사하는 소화설비

옥내 소화전
호스와 관창을 비치하여 화재 발생시 연결하여
소화하는 설비
소화기
소화기 사용법

- 철끈 레버를 당겨 소화기를 탈거한다.
- 소화기를 화점(불난 곳) 가까이(3~5m 정도) 접근한다.
- 안전핀을 빼고 노즐을 화점에 향하게 한다.
- 손잡이를 힘껏 누르고 바람을 등지고 비로 쓸듯이 앞에서부터 뿌려나간다.
화재대피용품
화재대피구조손수건 사용법(전 역사에 비치됨)
- 구조손수건을 즉시 개봉하여 손수건을 꺼낸다.
- 구조손수건 원통형 중앙에 손을 끼워 코와 입 주변을 감싼다.
- 낮은 자세로 침착하게 연기에서 탈출한다.
비상시 피난계단 사용법

- 비상시(화재, 테러 등) 대합실로 대피가 곤란한 경우 비치된 피난계단을 이용하여 터널로 대피하시기 바랍니다.
- 피난계단 하부를 선로 레일밑에 지지하고, 상부를 승강장 바닥에 걸친다.
- 피난계단을 비상시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선로이용인명구조장비

트로리란?
비상시(화재, 테러등) 도보로 터널내부에서 지하철 시설밖으로 피난이 어려운 노약자, 부상자를 터널내 선로를 이용하여 트로리에 승차하여 대피시키는 장비
트로리 사용법
1. 접어둔 트로리①를 바닥 또는 레일 위에 수평을 맞추어 펼친다.
2. 사각모서리에 대각으로 핸들②과 고정핀③을 정위치에 맞추어 끼운다.
3. 트로리① 중앙에는 고정상판④을 놓고 좌우에 상판 2장씩 ⑤을 맞추어 놓는다.
4. 핸들옆에 부착되어있는 브레이크 레바⑥를 핸들과 함께 움켜잡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운행하면 가동된다.
비상호출통화장치
승강장 상, 하선 승강장에 각각 3대씩 설치되어 있는 장치로 호출버튼을 누르면 역무실 직원과 통화 할 수 있는 비상통화설비로 소태역 ~상무역에는 음성통화만 가능한 콜폰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륵역 ~ 평동역에는 음성 통화 + 영상지원이 가능한 비디오폰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
소태역 ~ 상무역
-
마륵역 ~ 평동역
공기호흡기

역사 대합실, 승강장 각 층마다 양압식 공기호흡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등 비상시 인명구조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자료관리담당부서 : 재난안전팀
(604-8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