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소개
건설효과
신도심과 구도심은 물론 주요 생활권을 30분내에 신속하게 연결
- 도심과 외곽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해서는 도시철도(1․2호선)와 급행버스 중심의 간선망을 구축하고 권역별 환승거점에 따라 지선․마을버스를 연계할 수 있는 지선망을 구축하면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는 미래 대중교통시스템 구축이 가능
- 2호선 건설시 도시철도 교통수송분담률(3.6→12.1%)이 8.7% 증가됨에 따라 도로교통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연간 20톤) 감소 및 도심 열섬현상 저감
- 2004년 4월 개통된 도시철도 1호선의 교통 수송분담률 증대를 위해 2호선 운영시 시민의 교통 수혜율 확대[17%(25만명) → 71%(103만명)
- 타 교통수단에 비해 저렴하고 정시성, 신속성, 대량수송이 가능해 장애인, 노약자, 학생등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대중교통서비스 제공
- 광주 전역을 순환하여 도시 전체가 하나의 생활권이 되고, 역세권 중심의 주거단지 개발과 상권 형성으로 유동인구가 증가하게 되어 도심발전에 기여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및 신규 일자리 창출 기대(발췌 : KDI 보고서)
구 분 | 기대효과 | 비고 |
---|---|---|
생산 유발효과 | 1조 8,011억원 | |
부가가치 유발효과 | 8,099억원 | |
고용 유발효과 | 18,191명 | |
취업 유발효과 | 19,227명 |
자료관리담당부서 : 건설지원팀
(062-604-8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