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광주교통공사

건설방식

  • Home
  • 공사소개
  • 도시철도 2호선 정보
  • 건설방식
본문 시작

건설방식

건설방식

저심도 위주의 혼합형 경전철

도입공간에 대한 새로운 발상의 전환

평균 굴착깊이가 7~8m로 최소굴착에 따른 단순화, 경량화로 사업비 최소화 가능, 또한 이용객들이 한 계단만 내려오면 바로 지하철 탑승이 가능해 이용 편의성 극대화〔사례: 프랑스,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부다페스트(M1 1896년 개통 저심도 노선 120년간 운행중), 부산 사상~하단선, 서울-우이신설선 등〕

저심도 경전철· BRT· 트램 비교

저심도 경전철· BRT· 트램 비교
구 분 저심도 경전철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노면전차(TRAM)
개요 도로를 굴착(7~10m) 하여 축조된 지하공간을 경량차량이 운행 전용차로·전용신호등을 통행급행으로 버스를 운영하는 시스템 도로 중앙 노면에 2~4개 차로를이용하여 경량 전차가 운행
차량 저심도 경전철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노면전차(TRAM)
속도 30~40km/h 일반형 : 20km/h 10~15km/h
운행
방식
무인자동화 시스템 적용가능 유인시스템 필요 유인시스템 필요
(도로상 돌발상황 대처)
장점
  • 지하 전용선로이용으로도로교통과 간섭이 없음
  • 이용객 접근동선이 비교적짧고, 타 교통 수단과 연계 수송체계 구축
  •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고,지하 운행으로 소음과 진동거의 없음
  • 타 시스템 대비 저렴한 건설비
  • 이용자및교통약자 등 접근성이좋음
  • 타 시스템에 비해 공사 기간이짧다
  • 가장 경제적인 경량 전철시스템
  • 모든 동선이 지상에서 이뤄지므로이용객 접근성이 가장 양호
단점
  • 도로 굴착으로 공사 중 교통혼잡 우려
  • 별도의 지하 지장물 처리 대책필요
  • 도로잠식(2~3차선)으로 도로 교통혼잡 가중
  • 경전철 대비 속도가 낮음
  • 전용차로 주행으로 사고  (접촉)위험이 있음
  • 타 교통의 간섭을 받아 정시성이나쁨
  • 전용차로 및 중앙역사 설치필요
  • 전용차로, 교차로 우선 신호 등으로 도로교통 통행에 막대한지장 초래
  • 교차로 등에서 도로교통과 간섭되므로 속도가 낮고 사고 위험상존
  • 폭설․폭우 등 기후 영향을 받고소음과 진동 우려
자료관리담당부서 : 건설지원팀 (062-604-8201)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